|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리눅스의 장점은
다중 CPU를 지원한다.
여러개 달린 CPU가 가능하다.
서버용이 아니라고 해소 64개 개까지 지원한다.
멀티유저 시스템 여러사용자가 같이 쓴다.
윈도우도 멀티유저이지만. 한사람이 작업하는 동안해 다른사람이 오면 자리를 내주어야된다.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GNU라이센스로 무료로 사용가능하다.
얼마든지 개량도 가능하다.
내가 사용하는 리눅스 시스템은 전세계에 하나 밖에 없다.
윈도우즈는 유저가 시스템에 맞추어야된다. 리눅스 시스템은 자신이 맞출수있다.
리눅스도 C로 만들어졌다. GNU씨로 만들어짐
리눅스 설치전에 선해되어야 될작업은
*스템 정보를 확인해야된다. 그래픽카드, 사운드카드,네트워크정보
*파티션 구성을 해야된다. 리눅스에서 하나의 파티션만 쓰지는 않는다.
물리적인 저장장치를 논리적인 공간으로 분할하는것 파티션을 분할함으로 서 생기는 이점은?
데이터의 보존,
파티션은 2개로 나누어짐->주파티션 주파시션은 4개까지만 가능하다.(※확장파티션을 포함)
primary 확장파티션을 만들때는 오직 1개만 허용을한다.
->확장파티션
extended
|주|주|주|주|
| 주 |
|주| 확 |
|주|주|주|확|
무한정파티션을 분할할수있는것이아니라 파티션분할갯수가 정해져있다.
주파티션:부팅이가능하다,읽기/쓰기(엑세스)가능하다.
확장파티션:부팅이 불가능하다, 확장파티션자체만으로는 엑세스가 불가능하다.
엑세스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개이상의 논리드라이브가 필요하다.
확장 파티션은 1개이상의 논리드라이브로 재분할 할 수 있다. 64-255개까지 재분할 가능
예) 100GB 하드
-> 20GB윈도우 주파티션 |10G 리눅스 주파티션|1GB주파티선(가상메모리)|나머지 모두 확장-2개의 논리드라이브만든다 1개는 d:로쓰고 1개는 리눅스의 데이터저장
리눅스에서는 가상메모리를 파티션으로 지원을한다.
페이징분할 어드레싱해야 쓴다 주소범위는 정해져있다.
메모리 다쓰고 쓸수가 없다. 시스템 응답없음으로 된다 -> 다운된다.
우선순위가 낮거나 장시간동안 사용하지 않는데이터를 가상메모리에다가 옮긴다.
가끔가다가 c를 보면 PAGEFILE.SYS를 볼것이다. 경우에따라서 2기가에서 4기가다.
이게 가상메모리다.메모리가 한정되어있으니까 디스크상의 공간을 할당을 해서 메모리처럼 쓰겠다.
무조건스는것이 아니라 장시간동안사용하지 않거나
윈도우즈에서는 파일에 형태로 운영이 된다.
리눅스는 아예 파티션하나를 할당을 해버린다.이것은 쓰거나 변경불가 아예 가상메모리로 쓴다.
책에서는 실제 메모리의 2배로 항성써져있다 메모리가 512일경우 가상메모리가 많아야되고
메모리가 4기가이면 별로 필요가 없다.
최소한 2기가 할당을 하자 (실제메모리+가상메모리) 포함해서.
만약 리눅스만쓴다고하면 5G리눅스,1G가상,10G /HOME
리눅스에는 장치로 인식을한다. 파티션 하드디스크 모든것을 장치로 인식을 한다. 장치를 크게 나누면 2가지로 구분이 된는데
하나는 캐릭터 디바이스 하나는 블럭 디바이스,하드디스크는 블럭디바이스에 속합니다.
캐릭터 디바이스는 무엇이고 블럭디바이스는 무엇인가
모니터 키보드등 사운드카드 데이타 저장이 되는게 아니다 이런것들은 케릭터 디바이스다
반면에 데이타가 저장되는장치 하드 플로피 ODD USB는 블록 디바이스다 저장장치 입출력장치이다.
디스크 드라이브도 장치디다. 블럭장치, 데이타가 저장이 되는 장치
#CP /ETC/INITTAB NAR 이렇게 복사를 하는것은
NAR이라는 디렉토리는 하드디스크 공간상의 어떤 특정위치를 말하는것이다.
디스크상의 몇번지라고 위치를 명시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디렉토리를 적은 것만으로도 하드디스크 빈공간에 저장한다.
커널이 해준다.
리눅스는 드라이브 개념이 없고 파티션도 다 장치이다.
hda라는 장치가 있다. 마더보드에는 여러가지 포트들이 있다. E_IDE(p-ata), S-ATA등등
E_IDE는 primary master:hda primary second:hdb secondary master:hde secondart scond:hdd
예)hdb,hdc,hdd,fd,sda,tty,pts,lp
hda에 파티션을 나누면 번호가 붙는다
hda1,hda2,hda3이런식으로 1번부터 나간다.
주나 확장 파티션은 1-4개 가능하다.
이중에 하나는 확장파티션이 들어가 있거나 주파티션일 수도 있다. 핵갈려
확장파티션의 특징 논리드라이브가 있어야된다.
논리드라이브는 hda5는 무조건 5번부터 부튼붙는다. 5번부터는 무조건 논리 드라이브다.
플로피디스크는fd0,fd1은 이렇게 사용 파티션을 나눌수없다.
hdc는 시디롬으로 하면 장치번호가 없다 파티션 분할이 되지 않기 때문에
IDE장치일경우
sata도 아디이로 에뮬레이터 해서 쓴다.
스카시는
어레이가 특징이다. 장치들이 어레이로 쭉달린다. 7개에서 12개까지 달린다.
비록어레이로 되어있지만 각장치마다 아이디가 있다.
만약의 첫번째하드
sda 스카시첫번째하드
sdb 스카시두번째핟,
참고 sda5 첫번째 논리 드라이브 데이타
장치를 리눅스에서는 파일로 관리를 한다.
hda<-파일형태, 저장장치에 데이타를 저장하는 형태는 파일 형태 밖에 없다.
장치들도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파일의 형태로 관리를 한다. DEV는 디렉토리에서 장치를 파일의 형태로 관리한다.
파일은 내용을 가지고 있지만 공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직접적으로 일고 쓰는것이 아니다.
hda2와 특정디렉토리 에 연결을 시킨다.
장치를 디렉토리에 연력을한다.
CD롬 미러를 뜨면 이미지는 파일형태다 직접열어 볼수없다.
그장치를 드라이브와 연결을하고 드라이브로 진입을하면 내용이 고스란히 보인다.
파티션을 쓰기위해서는 디렉토리와 연결을 해야된다. 마운트
왜 파일의 형태로 관리를 하는가?
# monunt 장치명 디렉토리
/dev/hda1 /user 이렇게 쓰면 hda1이 /user라는 디렉토리에 마운트되서 사용한다.
리눅스를 설치하려면 어느 파티션에 리눅스를 설치해야되는지 명시를 해야된다.
적어도 어디에 루트가 설치되는가 생각해야된다.
hda1 /
hda2/home
hda6/data
일부 교재를 보게 되면 이런내용이있다.
파티션을 분할을 하는데, 50/boot 10G/ 20G/home이렇게 했는데 이렇게 쓸필요가없다.
커널은 다음 경로에 저장이되어있다.
/boot/vmlinux 이면 비압축 커널(3기가) /boot/vmlinuz 압축커널
실린더값으로 1024실린터 커널이 이상이 있어
1024 실린터 바깥에 커널이 있으면 커널을 읽어 들일수없다.
아무리 대용량이라도 1024실린더가 넘지가 않는다.
왜냐면 LBA모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라지블록엑세스)논리적으로 실린더 용량을 늘린다.
포인트에서 엠얼럭 할당하는것처럼
시스템정보(칩셋이 어디인가)를 봐야된다.
아이피설정은 ip netmask dns gateway를 설정한다.
예전에는 유닉스가 만이 쓰인 이유는 기본적으로 개인 퍼스널에서는 네트워크가 되지 않았다.
터미널의 주목적은 데이터이 입력과 출력 터미멀에서 메인 프레임에 접속할려면
계정과 비밀번호가 있어야한다.지는 처리능력이 없어..
콘솔과 터미널을 개념을 혼동하는경우가 있는데 로그인후 작업영역을 할당 받으면 그곳이 콘솔console이다.
pdc도메인 컨트롤러
모든 사용자 계정은 pdc에 접속해서 인증을 받고 사용을한다.
======================
Lan 로컬 WAn 광역 통신망
internet은 lan이다
ip전송,주소제공 tcp패킷컨트롤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컴퓨터는 호스트
udp 1:다 중심
ip 1:1 중심
netmask 아이피 주소는 0.0.0.0 에서 부터
255.255.255.255까지 있다.
절반ㄴ을 짤라내서
0.0.0.0
~127.255.255.255가 a클래스이다
128.0.0.0납니닫.
~191.255.255.255 b클레스다
192.0.0.0 c클래스
~255.255.255.255
192
기업은 전체가 c클래스 a클래스제공안한다.
서브넷 마스크
a:255.0.0.0
B:255.255.0.0
C:255.255.255.0
c클래스가 의미하는것은
255.255.255.255
-255.255.255.0
255다 0-256개의 컴퓨터만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b클래스
255.255.255.255
-255.255.0.0
255*255는 65535개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구성한다.
회사컴터는 1000대가 일반적으로 넘지 않는다 주소낭비
a클래스
255.255.255.255
-255.0.0.0
255*255*255 = 1670만개
a클래스는 통신회사밖에 사용하지 않는다.
공인IP
WAN- [아이피공유기]-NAT- 사설 IP
-
-
IPv6 =>아이피 개수가 부족하니까 한자리 더늘린것
192.168.10.0 네트워크주소빼고, 브로드케스트주소,게이트웨이주소를 뺀다.
192.168.10.255
넷마스크 때문에 그렇다.
255.255.255.0
0 0 0 255
192.168.10.1
192.168.10.2
192.168.10.3
192.168.10.4
호스트에 부여되는 호스트의 주소가 있고 호스트가 속해있는 단체 네트워크 주소가 있다.
마지막 한자리가 호스트 주소다.
192.168.10.0이 네트웍주소다. 네트웍을 가르키는말 천체를
제일 끝주소 192.168.10.255브로드 케스트주소 네트워크의 마지막 주소이다라는것을 명시함
이런 단위 하나의 네트워크 구릅이 LAN이다.
192.168.10.2 에서
192.168.10.4와 통신은 다이렉트 통신가능
192.168.10.2에서220.16.31.28과 다이렉트 불가 게이트웨이에게 위임해서 전송한다.(다른곳이있어서)
게이트웨이에서 라우터에게의뢰 라우터가 가는곳을 알려준다.
게이트웨이나 라우터는 같다. 프로밍적으로 봣을때는 라우터
들어올때는 라우터 나갈때는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도 아이피주소를 잡아먹는다.
------------------------------------------
tpc.ip는 아이피기반 근거리 원거리 다가능
동일한 네트워크를 같은 호스트들의 집합 LAN 이모여서 WAN
-------------------------------------------------
리눅스는 메인프레임과 단말기가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져이다
---------------------------------------------------
DNS=도메인 네임 서비스
이게 없으면 호스트 네임체계를 쓸수없다.
DNS의 서비스를 제공하는것을 DNS네임 서버다.
Ip는 숫자라서 외우기가 어렵다.
www.yahoo.co.kr =>url 그리고 FQDN이라고도한다. (full quality Domain name)
www=>호스트명
yahoo.co.kr=>도메인명
도메인은 컴퓨터의 집합을 이야한다.
도메인은 논리적인 이름이기 때문에 전세계에 어떤 LAN그룹도 묵어 놓을수있다.
yahoo는 도메인명 하위 도메인
co.kr 도메인 상위 도메인
www.naver.com 이라고 되어있으면 호스트의 아이피주소를 따러 컴터는
NS로간다. 가서 이름과 메치되는 아이피를 딴다.
192.168.10.2 ns 호스트 -|
192.168.10.3 www호스트 -|-> itea.co.kr 이라는 그룹의 호스트들
192.168.10.4 ftp호스트 -|
넷마스크랑 ip주소를 알고있으면
브로드케스트 주소랑 게이트웨이 주소를 알 수 있다.
-------------------------------------------------------------------------------
root라는것이 많은 의미로 쓰인다.디렉토리로서의 루트, 사용자계정의 루트, 경로의 루트
디렉토리로서의 루트
/가 최상의 디렉토리다. 커널은 /boot디렉토리에 설치 /home 사용자홈 /opt사용자 정의 설치
/proc 시스템 정보,
관리자 계정
최고 권한자
경로의 루트
/user/lib 이때 제일 앞에 있는 /은 최상의 디렉토리 / 이고 뒤에는 경로의 /이다. 디렉리라는 뜻도있다.
#cp /etc/fsfab /abc 루트및에 etc및에 있는 fsfab탭을 /abc로 복사해라 의미이다
*만약 /abc라는 디렉토리가 있다면 /abc디렉토리에 동일한 이름으로 복사.
/abc라는 디렉토리가 없다면 /디렉토리에 /abc라는 이름으로 복사를 한다.
#cp /etc/fsfab /abc/ 면 경로로 복사를 시도한다. 만약 디렉토리가 없으면 디렉토리 없다 메세지 띠운다.
---
0과1만가지고 표현을 하다가 보니이것을 묶었습니다. 2^8승으로 =0-255까지 표현이 가능하다.
이런 비트 8개의 묶음을 가르켜서 바이트라고 한다.
1바이트로 표기가 가능한 문자가 아스키 문자.
2바이트문자 표기 unicode 종류가 여러개 대표적인거 UTF8
---
1KB 1024BYTE
워드
컴퓨터나 시스템이 한번에 몇비트를 처리 할수 있는가
32비트는 4바이트가 1워드
64비트는 8바이트가 1워드
---------
시피유레지스터 공간에 가져와서 작업을 한다
캐쉬와 CPU속도는 1:1동기화 되어있다.
하드에서 메모리 읽고 CPU안에 캐쉬에서 읽어서 처리한다.
--------------------
입력장치 -- 키보드 마우스
출력장치 -- 모니터 프린터
중앙처리장치 == cpu
저장장치 -- hdd odd
이런것들은 전부 하드에어에 속하는것이다.
컴퓨터의 데이타는 저장장치에 저장이됩니다.
예전컴퓨터는 저장장치의 개념이 없고 OMR 천공장치.
컴퓨터는 부팅되면서 바이오스에 CMOS를 읽어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동을 할것인가
그리고 어떤장치가 달려있나 나온다.
이렇게해서 이상이 없으면 저장장치중에서 제일 첫번째 저장공간으로 가서 부트르 시도하기 위해서 읽는다.
디스크 첫번째공간 512byte이고 거기에 커널의 디스크어딘가있는지 나타내져있다.어떻게 부팅하는가에도 나타내있다.,
(커널의 정보, 커널의 옵션)
글로 이동해서 부팅.
--윈도우즈--
MBR은 마스터 부트 레코드를 윈도우는 사용하지 않는다.
부트 플레그를 주어진다.부트플레그가 존재하는 첫번째 공간으을 뒤저서 커널이 있는가 찾아서 부팅을한다.
파티션의
NTRDR커널을 찾을 수 없습니다. 커널이 없을수도 있고 존재하지만 망가졌다.
----
리눅스는 모든것을 장치라는 개념으로 생각을한다.
C:D:드라이브의 개념을 잡지 말아라.
디스크미러링은 번지수까지 떠서 옮긴다는이야기이다.
MBR을 가서 커널위치를 찾아서 부팅
다시한번 장치들을 검사하고 초기화한다. 초기화가 안되면 아뭣도 되지 않는다.
일번 프로세스로 초기화 프로세스가 구동이 된다.
프로세스는 일의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가르켜서 프로세스라고 한다.
프로세스와 잡을 혼동하고 쓰레드와 혼동을한다.
음악을 듣고 싶으면 윈엠프켜서 음악을 실행하는것을 연주 잡이다.
저장장치에서 메모리 기억장치상에 로딩을 해야된다.
인터럽트요청 메모리 번지수가 필요 이렇게 할당된 자원을 가르켜서 프로세스라고한다.
cpu사용률 메모리 사용률 할당. 결국에 프로세스를 죽인다는것은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 번지날리고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쓰레드는 하나의 프로그램이 한가지일만하지 않는다. 병렬로 일처리를 한다.
동일한 프로세스내에서 여러가지 알을 처리하는것이 쓰레드이다.
제일먼저 init프로세스가 구동이되고 사용가능하도록 설정을하고 로그인 프롬프트를 띠어놓는다.
===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범용이다 확장성이 좋다.원하는 기계 바로 설치하고 드라이버 설치후 사용가능
커널이 비대해지기 때문에 안된다.
임베디드는 원하는 커널을 최적화 시킨다.
sokoban's Blog is powered by Daum & Tattert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