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어쩌다보니 페도라랑 우분투 두가지를 다 쓰게 되서 둘다 설명하겠음---
1. 서버 pc의 tftp 서비스 설정
yum stall tftp //페도라에서의 인스톨 명령
apt-get install tftp //우분투에서의 인스톨 명령
rpm -qa | grep tftp //설치 확인
mkdir /tftpboot //tftp 서비스를 통해 이용할 파일을 넣을 디렉토리 생성
vi /etc/xinetd.d/tftp //페도라에서의 설정편집
vi /etc/default/tftp-hpa //우분투에서의 설정편집
================================================================
I# default: off
# description: The tftp server serves files using the trivial file transfer \
# protocol. The tftp protocol is often used to boot diskless \
# workstations, download configuration files to network-aware printers, \
# and to start the installation process for some operating systems.service
tftp{ socket_type = dgram
protocol = udp
wait = yes
user = root
server = /usr/sbin/in.tftpd
server_args = -s /tftpboot //해당폴더를 tftp서버로 사용
disable = no} //기본은 yes이므로 no로 바꿔준다
==================================================================
/etc/rc.d/init.d/xinetd restart //데몬 제시작
/etc/init.d/tftp-hpa restart //우분투에서의 tftp데몬 제시작
netstat -au //확인
netstat -al | grep tftp //확인
zImage-rebis //커널 이미지
ramdisk-rebis.gz //램디스크 이미지
두 이미지를 tftpboot 폴더로 옮긴다.
2.minicom
일종의 하이퍼터미널로 보드의 상태 확인 및 명령 입력이 하능토록 해준다.
minicom -s //옵션설정
serial port setup 으로 들어간다.
A - serial device : /dev/ttyS0
B - lockfile locaton : /var/lock
E - bps/par/bits : 115200 8N1
F - hardware flow control : no
G - software flow control : no
위와 같이 설정해주고
save setup as dlf 를 눌러 설정을 저장해준 후, exit로 빠져나온다.
3 부트로더 설정
보드의 전원을 킨다
print - 설정상태 출력
set ipaddr //보드의 ip 설정 명령
set serverip //서버의 ip 설정 명령
save //설정 저장
4 리눅스 포팅
커널과 램디스크 이미지를 ram에 저장
t 32000000 zImage-rebis //커널 이미지 포팅
t 30800000 ramdisk-rebis.gz //램디스크 이미지 포팅
ram의 이미지를 nand flash에 저장
nandw 0 0xea000 0x32000000
nandw 100 0x2fa000 0x30800000
boot 커멘드 설정
보드를 켰을때 자동으로 리눅스로 부팅되게끔 설정해준다.
set bootcmd nandr 0 0xea000 0x32000000; nandr 100 0x2fa000 0x30800000;
go 32000000;
save
여기까지 완료후에 보드를 제부팅 시키면 리눅스로 부팅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출처 : Tong - nicesys님의 기본통
sokoban's Blog is powered by Daum & Tattertools